본문 바로가기
책읽은이야기

대리운전의 e-bussiness 변화에 대해 알아봅시다

by 글쓰는공부개미찡뚠뚠이 2023. 7. 20.
반응형

 

대리운전은 타인의 자동차를 대신 운전하여 자동차, 고객을 목적지까지 운반해주는 것을 말한다. 실제 생활에서는, 차량을 운행할 필요성이 존재할 경우 도로교통법 상 음주운전 단속 및 처벌을 피하고 음주로 인하여 신체와 감각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교통사고를 예방할 목적으로 차주인 고객, 다른 사람의 차량을 함께 돈을 받고 원하는 목적지까지 운반하는 서비스까지 총칭한다. 대리운전기사는 좁은 의미로 대리운전업체에 속하여 대리운전업체가 이용하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Order 콜을 조회하고 선택해서 수행하는 자를 지칭하지만 넓은 의미로 차량 주인의 요청에 따라서 자동차 혹은 자동차와 사람을 목적지까지 알맞은 대가를 받고 해당 자동차를 대신하여 운송하는 자를 말한다. 대리운전기사는 자가용 운전자를 대리하여 목적지까지 운전하는 자라고 정의하고 있다.

 

 실제 생활에서는 주로 야간취객을 대상으로 하여 자동차 차주를 대신하여 자동차를 운전하는 업종으로 더욱 많이 이해되고 있다. 이와 같이 대리운전기사들은 대리 업체로부터 서비스 위탁을 받아서 계약을 맺고 있는 구조로 고객 편의에 따라서 차주 운전자가 함께 해당 차량을 목적지까지 도로를 운행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e-businees 사례 관련 우리나라 대리운전 산업을 대상으로, 콜센터 방식으로 운영되던 전통적인 비즈니스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디지털 플랫폼 비즈니스를 비교하고, 두 가지 비즈니스 방식에서 기업이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 논해보고자 한다.

 

 

1. 우리나라 대리운전 산업을 대상으로, 콜센터 방식으로 운영되던 전통적인 비즈니스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디지털 플랫폼 비즈니스를 비교

 

1) 콜센터 방식으로 운영되던 전통적인 비즈니스

 

대리운전업체는 이용자로부터 콜을 받아 대리운전기사에게 이용자의 위치와 정보를 제공해주고 그러한 대가로 수수료를 받는다. 이와 같은 대리운전업체는 광역과 법인, 탁송업체 등이 있다. 대리운전기사가 고객을 유치하고 Order 콜을 받기 위해서는 대리운전업체에 등록하여야 한다. 대리운전 업체의 운영하는 방식에는 직영방식, 중계방식이 있다. 직영방식은 초기의 형태로 대리운전업체가 대리운전기사를 직접적으로 고용하여 운영하는 방식이며, 중계방식은 대리운전업체의 고용주가 대리운전기사를 고용하여서 대리운전업체가 고객으로부터 Order 콜을 받아서 단말기를 통해서 대리운전기사에게 이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대리운전업계의 운영방식은 대다수가 중계방식을 따르고 있다.

 

 그리고 대리운전업체의 운영하는 형식에 따라 일반 콜’, ‘법인 콜로 구분된다. 대리운전업체의 영업 유형에는 업소형, 지역형, 기업형이 존재하고, 서로 중첩적인 모습을 가지기도 한다. 그리고 시간이 갈수록 기업형으로 발전하고 있다. 우선 업소형은 대리운전 초기에 도입되서 운영된 형태이다. 음주단속을 당하지 않을 목적으로 유흥업소에서 직원, 주차관리원으로 하여금 고객유치의 차원에서 실시하였으며, 비용은 고용주가 지불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2003년 후반부터 지역형이 나타났는데, 유흥업소 연계방식에서 벗어나서 해당지역 안의 대리운전업체가 콜 연결을 통해서 대리운전 기사와 고객을 연결시키는 구조였다. 해당 지역 대리운전업체 혹은 대리운전연합 소속 대리운전기사들이 Order 콜을 받은 콜센터에서 해당 지역의 소속 대리운전기사들로 Order 콜을 처리하는 형태이다. 해당 지역에서 나오는 Order 콜을 받아서 대리운전사무실에 속한 기사들을 중점으로 운행한다.

 

 주로 중소도시에서 떨어진 산업지대 주변, 도시외곽의 유흥지 등에 만들어졌다. 다만, 대리운전프로그램이 일반화되지 않아서 대리운전업체가 운전자에게 직접적으로 무전기를 이용하여 콜 정보를 주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기업형은 대형의 단독업체가 여러 개의 소형 단독업체를 지사로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서 지역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되었고 소규모의 자본을 벗어나서 대형자본이 들어오면서 빠른 성장을 하여 지사로 편입하였다. 지사로 편입될 경우 일정 지역의 배분을 통해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반응형